생활정보방

[스크랩] 24절기(節氣)의 두번째 우수(雨水)

쉬어가는 여유 2011. 2. 19. 10:20


24절기(節氣)의 두번째 우수(雨水)

 


    24절기(節氣)의 둘째.

    입춘 후 15일 후인 양력 2월 19일 또는 20일이 된다.

    태양이 황경 330°에 올 때,

    우수입기일(雨水入氣日)이 되는데,

    음력 정월의 중기이다.

    입춘과 경칩 사이에 있다.

    옛사람은 우수 입기일 이후 15일간의 기간을 3후(三候)로 5일씩 세분하여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놓고,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초목에는 싹이 튼다고 하였다.

    수달은 강이 풀리면서 물위로 올라오는 물고기를 잡아 먹이를 마련하고

    추운 지방의 새인 기러기는 봄기운을 피하여

    다시 추운 북쪽으로 날아간다.

    그렇게 되면 봄은 어느새 완연하여 초목에 싹이 튼다.

 


    흔히 양력 3월에 꽃샘 추위가 기승을 부리지만,

    이맘때면 날씨가 많이 풀리고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시기로서

    새싹이 난다.

    예로부터 '우수·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고 하였다.

    ♤ 기후
    날씨가 거의 풀리고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고 새싹이 날 때이다.
    수달이 물고기로 제를 지내고,
    기러기들이 오며, 초목에 싹이 튼다.

    풍속
    옛날부터 "우수 경칩이 되면 대동강 물도 풀린다"는 말이 있다.

    참고문헌 및 링크
    정인지, 《고려사》 권 제20, 조선초

우수의 별자리    



우수(牛宿)는 동아시아의 별자리인 이십팔수의 하나로,
소를 모는 사람의 의미로 견우(牽牛)라고도 한다.

북방현무 7수(宿) 중 두번째에 해당된다.
염소자리·독수리자리·거문고자리의 일부분으로 되어 있다.
수거성은 염소자리의 α성 알게디 혹은 β성 다비흐로 추정된다.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옛 별자리에 의하면,
독수리자리의 α성은 하고(河鼓) 별자리의 대장군(大將軍) 별로,
직녀(織女) 별자리와 함께 ‘견우’에 속한다.

이 별은 흔히 견우성으로 잘못 알려져 있다.
실제로는 어두워서 잘 보이지 않으나
황도와 천구의 적도 부근에 위치하여
해와 달이 지나는 중심 별자리가 된다.

천상열차분야지도에 그려진 은하수를 기준으로 할 때에,
견우와 직녀는 대략 비슷한 거리 만큼 떨어져 있다.

우수는 대략 기원전 5세기 후반 이후로 역사에 등장하였다.



     

    대금연주-초소의 봄

    ●● FIT for LIFE-인생을 보람차고 건강하게!! ●●

     

    淸雅 : 安 承 鎬 

      출처 : 청아의 둥지 (Pure & a Nest)
      글쓴이 : 청아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