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글 아름다운 詩

小至

쉬어가는 여유 2021. 12. 23. 14:53

小至 --杜甫--

작은 동지 (동지 전 날)

 

天時人事日相催(천시인사일상최)

자연의 현상도 인간의 일처럼 날마다 서로 일어나고

 

冬至陽生春又來(동지양생춘우래)

동지에 양의 기운 생겨 봄이 또 오려하네

 

刺繡五紋添弱線(자수오문첨약선)

오색실로 수놓은 오행의 무늬에 약한 실로 덧붙이고

 

吹葭六琯動浮灰(취가육관동부회)

갈대 피리 옥피리 부니 먼지 움직여 떠다니네

 

岸容待臘將舒柳(안용대랍장서류)

강 언덕 조용히 섣달 대비하여 버드나무 피어나고 

 

山意沖寒欲放梅(산의충한욕방매)

산중에 추위 물러나니 매화가 피려 하네

 

雲物不殊鄉國異(운물불수향국이)

높은 세상의 이치도 고향과 다르지 아니하고

 

教兒且覆掌中杯(교아차복장중배)

아이로 하여금  또다시 마음으로 술잔 받들게 하네

 

天時人事日相催 계절과 세상일이 날로 서로 재촉하니
冬至陽生春又來 동지에 양의 기운 생겨 봄이 또 오네
刺繡五紋添弱線 자수 놓는 오색실 실 하나 더 보태고
吹葭六琯動浮灰 갈대 재 채운 율관 재가 떠 움직이네
岸容待臘將舒柳 강 언덕 섣달이면 버들 싹이 피어나고
山意沖寒欲放梅 산중에는 추위 뚫고 매화가 피려하네
雲物不殊鄉國異 이곳의 경물도 고향과 다르지 않아라
教兒且覆掌中杯 아이에게 술을 시켜서 한 잔 마셔보네

 

 

※天時:계절과 같이 때를 따라 돌아 가는 자연의 현상 ※催:재촉하다.일어나다

※刺繡:옷감에 여러가지 색실로 그림 무늬 등을 수놓아 나타 내는것

※五紋:오행의 무늬 ※添:더하다.덧붙이다 ※葭:갈대 피리 ※琯:옥피리

※浮:떠다니다 ※灰:먼지 ※岸:강 언덕 ※待:기다리다.대비하다

※臘:섣달 ※將:장차 ※舒:펴다.퍼지다.흩어지다 ※沖:비다.공허하다

※雲物:만물의 높음 ※殊::다르다.뛰어나다 ※鄕國;고향

※敎:~하여금 ※覆:다시.도리어.되풀이하다.※掌:받들다.헌신하다.주관하다

 

 

■杜甫

중국의 당대(唐代)의 시인. 자는 자미(子美). 두예의 13대 손. 소릉(少陵 : 장안부근(長安附近))에 거주했고, 공부원외랑(工部員外郎)이 된 데서 두소릉ㆍ두공부라고도 불리며, 두목에 대하여 노두(老杜)라고도 일컫는다. 허난[河南]의 궁센(鞏縣)에서 출생. 몰락기에 있는 중산 관리 계급의 출신. 어려서 어머니 최 씨(崔氏)를 잃고, 뤄양의 숙모 밑에서 양육되었다. 24세 때 진사 시험에 낙제, 산시[山西, 730], 장쑤 및 저장(731~735)ㆍ산둥ㆍ허베이 (736~740, 745) 등에 여행을 시도하고, 이 여행 중에 이백ㆍ고적을 대면(對面), 큰 영향을 받았다. 751년에 집현원대제(集賢院待制)ㆍ우위부주조참군(右衛府胄曹參軍) 등 하급 관직을 역임했다. 756년 숙종의 행재소(行在所)에 가는 도중 도둑에 잡힌 후, 장안에 유폐되었다가 757년 탈출에 성공, 봉상(鳳翔)에 이르러 좌습유(左拾遺)가 되었다. 759년 기근으로 관직을 사임, 가족과 함께 간쑤[甘肅]의 진주(秦州)에 여행, 《북정(北征)》ㆍ《삼리 삼별(三吏三別)》을 지었다. 진주에서 남쪽으로 따라가서 동곡(同谷), 또 쓰촨[四川]에 입성, 759년에 청두[成都]에 도착했다. 이 여행 중의 시는 첨예한 불안으로 차있다. 병란으로 청두[成都]를 떠난 일도 있으나, 대체로 청두 서교(西郊)의 완화 초당(浣花草堂)에 안주, 약초 및 야채를 경작했다. 764년에 친구 엄무의 소개로 공부원외랑(工部員外郎)이 되었다. 그러나 동료와 불화, 곧 관리 생활을 버리고, 가족과 함께 충칭[重慶]을 거쳐 윈양[雲陽]에 이르렀다. 그는 지병(持病)으로서 폐병, 당뇨병(糖尿病)을 갖고 있었는데, 더욱 쇠약해져 2년 동안 기주(夔州)에서 요양하고, 768년에 무협(巫峡)을 떠나 궁안[公安]ㆍ웨양[岳陽]ㆍ창사[長沙]ㆍ헝저우[衡州]를 전전하다 770년 사망했다. 기주 시대(夔州時代)의 시는 완성의 경지에 도달, 《추흥 팔수(秋興八首)》 등의 명작이 많다. 그는 중국 문학사상 제1의 시인으로 불린다. 율시(律詩)를 완성하고, 한위악부(漢魏樂府) 민요(民謠)의 정화(精華)를 입함으로써 고체시(古體詩)를 신생(新生)케 했다. 더욱 종래의 문학 전통의 집대성이라는 형식으로 서정시ㆍ서사시를 창조했다. 많은 고난은 그를 폭넓은 휴머니스트가 되게 하고, 그는 그러한 자기를 성실하게 작품에 표현했다. 이백(李白)과는 대조적인 2대가로서 병칭되기도 한다. 현재 《두공부집(杜工部集 20권)》이 전해지는데, 고체(古體) 399, 근체(近體) 1006이 수록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좋은 글 아름다운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薄暮  (0) 2022.01.03
無題  (0) 2021.12.29
雪日  (0) 2021.12.21
賞景  (0) 2021.12.14
別敬溫師  (0) 2021.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