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글 아름다운 詩

有感

쉬어가는 여유 2022. 4. 13. 16:40

有感  =朴仁老=

느낀 바 있어

 

宜弟宜兄睦一家(의제의형목일가)

형제간 우애가 좋으니 집안이 화목하고

人言友愛世無加(인언우애세무가)

세인의 소문에 형제간 정과 사랑이 세상에 더할 나위 없네.

如今謾作孤飛鴈(여금만작고비안)

지금은 아득히 홀로 외로이 나는 기러기와 다를 바 없고

隻影虛堂只自嗟(척영허당지자차)

오직 한 사람만이 텅 빈 집에서 스스로 탄식할 수밖에 없구나.

 

※有感:느끼는 바가 있어 ※宜兄宜弟:형제간에 우애가 좋음

※人言:남의 말. 세인의 소문 ※友愛:형제 사이의 정과 사랑

※如今:지금 ※謾:속이다. 헐뜯다. 느리다. 아득하다. 업신여기다.

※隻影:오직 단 한 사람 ※只:다만. 오직. 겨우. 오직~밖에 없다

※嗟:탄식하다. 감탄하다.

 

 

朴仁老 (1561~1642)

본관은 밀양(). 자는 덕옹(), 호는 노계() 또는 무하옹(). 경상북도 영천 출생. 아버지는 승의부위박석()이며, 어머니는 참봉주순신()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그의 82세의 생애를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보면, 전반생()이 임진왜란에 종군한 무인으로서의 면모가 두드러졌다고 한다면, 후반생()은 독서와 수행으로 초연한 선비요, 문인 가객()으로서의 면모가 지배적이었다.

특히 어려서부터 시재()가 뛰어나 1573년(선조 6) 13세의 나이로 「대승음()」이라는 칠언절구의 한시를 지어 보는 이들을 놀라게 하였다고 한다. 32세인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고, 동래·울산·경주지방을 비롯해 영양군까지 잇따라 함락되자 분연히 붓을 던지고 의병활동에 가담하였다.

38세인 1598년(선조 31)에는 강좌절도사(使)인 성윤문의 막하에 수군()으로 종군하여 여러 번 공을 세웠다. 1599년(선조 32) 무과에 등과하여 수문장()·선전관()을 제수받았다.

거제도 말단인 조라포()에 만호()로 부임하여 군사력 배양을 꾀하고 선정을 베풀어 선정비()가 세워지기도 했다. 그는 무인의 몸으로서도 언제나 낭중()에는 붓과 먹이 있었고, 사선을 넘나들면서도 시정()을 잃지 않았다.

그의 후반생은 독서수행의 선비이며 가객으로서의 삶이었다. 곧, 문인으로서 본격적으로 활약한 것은 은거생활에 든 40세 이후로, 성현의 경전 주석 연구에 몰두하였다.

밤중에도 분향축천()하여 성현의 기상()을 묵상하기 일쑤였다. 또한, 꿈 속에서 성·경·충·효()의 네 글자를 얻어 평생의 좌우명으로 삼아 자성()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만년에는 여러 도학자들과 교유하였다. 특히 이덕형()과는 의기가 상합하여 수시로 종유하였다. 1601년(선조 34) 이덕형이 도체찰사(使)가 되어 영천에 이르렀을 때, 처음 대면하여 지은 시조가 「조홍시가()」이며, 1605년(선조 38)에는 선상탄()」을 지었다.

1611년(광해군 3) 이덕형이 용진강() 사제()에 은거하고 있을 때 그의 빈객이 되어 가사 「사제곡()」·「누항사()」를 지었다.

1612년(광해군 4) 도산서원에 참례하여 이황()의 유풍을 흠모하였고, 그 밖에도 조지산()·장여헌()·정한강()·정임하()·정연길()·최기남() 등과 교유하였다. 1630년(인조 8)에는 노인직으로 용양위부호군()이라는 은전()을 받았다.

1635년(인조 13)에 가사 「영남가()를 지었고, 이듬 해노계가를 지었다. 그 밖에 가사 「입암별곡()」과 「소유정가()」가 전하는데, 가사가 9편이고 시조는 68수에 이른다.

말년에는 천석()을 벗하여 안빈낙도하는 삶을 살다가 1642년(인조 20)에 세상을 떠났다. 영양군 남쪽 대랑산()에 안장되었다. 죽은 뒤에 향리의 선비들이 그를 흠모하여 1707년(숙종 33)에 생장지인 도천리에 도계서원()을 세워 춘추제향하고 있다.

그는 비록 후반생부터 문인활동을 했지만, 그의 작품세계는 매우 풍요로워서 정철()에 버금가는 작가로 알려져 있다. 그의 작품들은 3권 2책으로 이루어진 『노계집』과 필사본 등에 실려 있다. 그 밖에도 많은 시가들이 있었으나 대부분 소실되었다.

비록 시조를 즐겨 지어 완전히 생활화했지만, 국문학사상 의의는 가사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그의 문학적 재능도 가사에 더 잘 나타나 있다고 할 수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박인로 [朴仁老]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좋은 글 아름다운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春日閑居  (0) 2022.05.12
可惜  (0) 2022.04.20
淸明  (0) 2022.04.05
黃山江 臨鏡臺  (0) 2022.03.29
春日  (0) 2022.03.16